복지 News

주거급여 수급자 조건 및 신청 방법 (2025년 최신)

Daniel.J 다니엘 2025. 3. 27. 14:00

 

 

주거급여 수급자 조건 및 신청 방법 (2025년 최신)



"주거급여! 정부의 지원을 혹시 못 받고 계시진 않으신가요?"



주거급여, 누구를 위한 제도일까?

높은 전세값과 치솟는 월세 부담 속에서, ‘내가 과연 안정적인 거주를 할 수 있을까?’ 고민하는 분들이 많습니다. 특히 소득이 낮거나 경제적으로 어려운 상황에 놓인 가구에게는 주거비용이 생활비 중 가장 큰 부담이 되곤 하죠. 이런 현실 속에서 주거급여는 정부가 마련한 중요한 주거복지 제도 중 하나입니다.

주거급여는 단순한 금전 지원이 아닌, 주거 안정을 통해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한 제도입니다. 월세 지원뿐 아니라 자가 가구의 주택 개보수, 청년 주거급여 분리지급 등 다양한 방식으로 지원이 이뤄지고 있어, 자격 요건만 충족된다면 꼭 신청해볼 만한 제도예요.

이 글에서는 주거급여의 대상자 조건, 신청 방법, 지원 내용 등 꼭 알아야 할 정보를 체계적으로 정리해드릴게요.

정부의 주거 지원이 궁금하다면, 지금부터 함께 알아보겠습니다!

2025년 주거급여 수급자 조건 정리 (소득·재산 기준) 

“나도 주거급여 받을 수 있을까?” 요즘처럼 전세·월세 모두 부담스러운 시기에는, 정부의 주거지원 제도인 주거급여가 더욱 절실하게 느껴지죠.

그런데 정작 많은 분들이 “조건이 까다로운 것 아닌가요?” 하며 신청조차 망설이곤 합니다.

사실 주거급여는 생각보다 넓은 범위를 지원하고 있으며, 매년 중위소득과 재산 기준이 새롭게 적용됩니다.

2025년에는 어떤 조건이 적용되는지, 공식 자료를 바탕으로 정확하게 알려드릴게요! 

주거급여란 어떤 제도인가요?

주거급여는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의 하나로, 소득과 재산이 일정 기준 이하인 가구에게 주거비 일부를 정부가 지원해주는 제도입니다.

  • 임차가구에게는 월세 지원,
  • 자가가구에게는 집수리(주택 개보수) 지원,
  • 청년 단독거주자에게는 분리지급 제도도 제공돼요.

2025년 주거급여 수급자 기준은? (중위소득 48% 이하)

주거급여 수급 조건은 가구 단위로 평가되며, 가장 기본이 되는 기준은 ‘중위소득’입니다.

2025년 기준으로 주거급여는 중위소득 48% 이하 가구에게 제공돼요.

중위소득이란? 국민 전체를 소득 순서로 줄 세웠을 때, 정중앙에 있는 사람의 소득을 말합니다.

가구원 수별 소득 기준 (2025년 기준)

가구원 수 24년 기준 48% 25년 기준 중위 48%
1인 1,069,654원 약 114만 원 이하
2인 1,767,652원 약 188만 원 이하
3인 2,084,364원 약 241만 원 이하
4인 2,538,453원 약 293만 원 이하

TIP: 실소득은 세전이 아닌 ‘가처분 소득’ 기준으로 평가되며, 임대보증금·차량 등 재산과 부채까지 종합적으로 반영됩니다.

재산 기준도 따지나요?

그렇습니다. 단순 소득뿐 아니라, 가구의 총 재산(부동산 + 금융재산 + 차량 등)도 함께 평가됩니다.

지역 구분 재산 인정 기준 적용 지역 예시
대도시 2억 1천만 원 이하 서울, 경기, 광역시
중소도시 1억 3천만 원 이하 창원, 천안 등
농어촌 1억 1천만 원 이하 군 단위 시·군 지역

단, 실제 보유 재산 전체를 그대로 계산하지 않고 주거용 재산 공제, 부채 차감, 자동차 감가상각 등이 적용돼 실제 평가액은 달라질 수 있어요.

소득·재산 외에 유의할 점은?

  • 청년 분리지급: 만 19~34세 미혼 청년이 부모와 거주지 분리 시 신청 가능
  • 가구 구성원 중 1인이라도 기초생활보장 수급자이면 신청 가능
  • 전입신고, 임대차계약서, 통장사본 등 서류 미비 시 선정에서 누락될 수 있음
💬 “소득만 보고 안 될 거라 생각했는데, 재산 공제를 받고 수급 대상이 되었어요!” 라는 후기도 많아요. 복지로 사이트나 읍면동 주민센터에서 꼭 확인해보세요.

나는 받을 수 있을까?

구분 2025년 기준
소득 기준 중위소득 48% 이하 (1인 약 114만 원 이하)
재산 기준 대도시 2.1억 / 중소도시 1.3억 / 농어촌 1.1억 이하
기타 청년 분리지급, 자가 가구 가능, 임대차계약 필요

 

전세·월세 지원은 얼마나 받을 수 있을까? (지역별 상한액 포함) 

주거급여는 단순한 소득보전 제도가 아닙니다. 임대료를 직접 지원받을 수 있는 제도라는 점에서, 특히 전세나 월세 부담이 큰 가구에게는 체감 혜택이 큰 제도예요.

하지만 “얼마나 받을 수 있을까?”는 지역·가구 규모에 따라 다르게 적용됩니다.

이번 글에서는 2025년 기준으로 월세(임차급여)의 지원 한도, 그리고 지원 방식까지 상세히 알려드릴게요! 🙌

주거급여, 월세는 어떻게 지원되나요?

주거급여에서 월세 지원은 실제 부담하고 있는 임차료와 정부가 정한 지역별 상한액 중에서 적은 금액을 기준으로 지급돼요.

예시
- 실제 월세가 30만 원이고, 상한액이 35만 원인 경우 → 30만 원 지원
- 실제 월세가 40만 원이고, 상한액이 35만 원인 경우 → 35만 원까지만 지원

💡 단, 소득인정액이 일정 금액 이상인 경우, 일부 차감될 수 있어요.

25년 달라진점

2025년 주거급여 지역별 임차급여 상한액

다음은 2025년 기준, 국토교통부가 발표한 가구원 수 및 지역별 상한액입니다. (2025.01.01.부터 적용)

가구원 수 1급지 (서울) 2급지 (경기·인천) 3급지 (광역시·세종 등) 4급지 (기타 시·군)
1인 가구 352,000원 281,000원 228,000원 191,000원
2인 가구 395,000원 314,000원 254,000원 215,000원
3인 가구 470,000원 375,000원 302,000원 256,000원
4인 가구 545,000원 433,000원 351,000원 297,000원
5인 가구 564,000원 448,000원 363,000원 307,000원
6인 이상 667,000원 531,000원 428,000원 363,000원

7인 이상 가구는 6인 기준 금액의 10%를 추가 적용하여 상한액을 계산합니다.

실제 지원금 산정 방식은 어떻게 될까?

월 임대료 전액을 그대로 지원받는 건 아닙니다. 소득인정액에 따라 일부 차감되는 방식이에요.

예시
- 3인 가구, 서울 거주
- 월 임대료: 50만 원
- 상한액: 47만 원
- 소득인정액이 일정 금액 초과 시, 일정 부분 차감 후 지원 → 예: 실지급 42만 원

💡 이 계산은 수급자의 소득, 부양의무자 유무, 가구 특성 등을 고려해 산정되며, 복지로 또는 주민센터에서 확인 가능합니다.

자가 가구는 어떤 지원을 받을 수 있나요?

자가 주택을 보유하고 있더라도, 노후된 주택에 거주 중이라면 ‘자가급여(주택 개보수)’를 통해 수선 비용을 지원받을 수 있어요.

수선 범위 지원금액 수선주기
경보수 최대 590만 원 3년
중보수 최대 1,095만 원 5년
대보수 최대 1,601만 원 7년

자가급여는 소득 구간에 따라 지원금액의 80~100%까지 차등 지급됩니다.

꼭 알고 있어야 할 꿀팁 

  • 📝 신청 전 임대차계약서와 주민등록 전입정보가 정확히 일치해야 함
  • 🧾 통장사본, 임대인 정보, 건강보험료 고지서 등 서류 준비 미리 해두기
  • 📲 복지로(www.bokjiro.go.kr)에서 모의 계산 가능하니 꼭 확인해보기

 

주거급여 신청 방법: 온라인부터 방문접수까지 한눈에 

“조건은 되는데, 어디서 어떻게 신청해야 할지 모르겠어요.” 주거급여 제도는 잘 알려져 있지만, 실제 신청 방법에 대해선 막막해하시는 분들이 많습니다.

하지만 걱정 마세요! 2025년 기준 주거급여 신청 절차는 생각보다 간단하고, 온라인·오프라인 모두 가능하답니다 😊

이번 글에서는 주거급여 신청 방법을 단계별로 정리하고, 유형별 체크리스트필요서류, 처리기간까지 한눈에 확인하실 수 있도록 안내드릴게요.

주거급여 신청 방법, 총 2가지!

주거급여는 직접 신청하는 제도입니다. 자동으로 지급되지 않기 때문에 꼭 신청 절차를 거쳐야 하며, 방법은 크게 두 가지로 나뉩니다.

구분 방법 접수처 특징
온라인 신청 복지로 웹사이트 또는 모바일 앱 www.bokjiro.go.kr 24시간 가능, 서류 첨부 필요
오프라인 신청 방문 접수 주소지 관할 읍·면·동 주민센터 직접 상담 가능, 서류 즉시 제출 가능

온라인 신청, 이렇게 하세요

복지로 신청하기 위치

온라인 신청은 복지로 홈페이지 또는 모바일 앱에서 가능합니다.

신청 절차:

  1. 복지로 접속 → 로그인 (공동인증서, 간편인증 가능)
  2. [복지서비스 신청] 메뉴 클릭
  3. ‘주거급여’ 선택
  4. 가족 정보 확인 및 소득·재산 정보 입력
  5. 관련 서류 첨부 및 제출 완료

💡 공동인증서가 없다면 주민센터 방문이 필요합니다.

방문 신청 시 준비물은? 

읍면동 주민센터로 직접 방문 시, 다음과 같은 서류를 준비해 가셔야 해요.

서류 항목 설명
사회복지서비스 신청서 주민센터에서 직접 작성 가능
신분증 신청자 본인 확인용
임대차계약서 사본 임차가구의 경우 필수
통장 사본 급여 입금용
전입세대 열람 내역 가구원 확인용, 주민센터 발급 가능
소득·재산 관련 서류 건강보험료 고지서, 재산세 등

신청 후 처리 절차는 어떻게 될까? 

신청 후에는 아래와 같은 과정을 거쳐 심사 및 지급이 이루어집니다.

단계 내용 소요기간
1단계 신청 및 서류 접수 즉시
2단계 소득·재산 조사 (행복e음 연계) 7~14일
3단계 수급자격 결정 30일 이내
4단계 급여 지급 개시 익월부터 지급

💡 처리 결과는 문자 또는 복지로 알림으로도 확인할 수 있어요.

청년 분리지급 신청은 다를까?

청년이 부모와 거주지를 달리할 경우, 청년 분리지급 신청이 가능해요.

  • 대상: 만 19~34세 미혼 청년
  • 필요서류: 분리 거주 증빙 (전입신고, 임대차계약서 등)
  • 신청 방법: 부모가 가구 대표로 일괄 신청 가능

이런 분들은 꼭 신청해보세요! 

  • 건강보험료 납입액이 많지 않은데, 월세 부담이 크신 분
  • 자가 주택이 너무 노후되어 수선이 필요한 분
  • 청년 1인가구로 독립했지만 월세가 감당 안 되는 분
  • 기초생활수급자인데 주거급여는 빠진 상태인 분

 

놓치면 손해, 지금 바로 확인해보세요 

주거비 걱정, 더는 혼자 고민하지 마세요.
정부의 주거급여는 단순한 금전 지원이 아니라, 안정된 삶을 위한 든든한 기반이 되어줍니다.

특히 기준 중위소득 48% 이하 가구라면, 내가 몰랐던 지원 자격이 충분히 될 수 있어요.
주거급여는 월세뿐 아니라 전세, 자가주택 수선비까지 폭넓게 지원하고 있고,
최근엔 청년 분리지급 제도까지 확대되면서 더 많은 분들이 혜택을 받을 수 있게 되었죠.

복잡하게 느껴지는 신청 절차도, 사실 정부24나 복지로를 통해 간편하게 확인하고 신청할 수 있어요.
정확한 기준만 알면 누구나 신청 가능하다는 점, 기억해 주세요!

나와 가족의 주거 안정을 위해, 주거급여는 꼭 챙겨야 할 제도입니다.
지금 바로 확인해보는 것만으로도 삶이 훨씬 가벼워질 수 있어요.

❓ 자주 묻는 질문 (FAQ)

Q1. 주거급여는 무조건 임대가구만 받을 수 있나요?
A1. 아닙니다! 임대 가구는 월세를 지원받고, 자가 가구는 주택 수선비 형태로 지원받을 수 있어요.
자가 보유자도 주거 환경이 열악하다면 충분히 신청 가능하답니다.

Q2. 내가 조건에 해당하는지 쉽게 확인하는 방법은?
A2. 복지로(www.bokjiro.go.kr) 또는 마이홈 포털에서 간단한 소득·재산 입력만으로
모의계산을 통해 자격 여부를 확인할 수 있어요.

Q3. 청년 1인 가구도 지원 가능한가요?
A3. 네! 부모와 떨어져 거주하는 청년이라면 ‘청년 주거급여 분리지급’을 통해
따로 월세 지원을 받을 수 있어요. 단, 부모님이 수급자여야 해요.

Q4. 주거급여 신청 후 얼마 만에 받을 수 있나요?
A4. 보통 신청 후 한 달 내외에 결과가 통보되고, 선정되면 익월부터 지급이 시작돼요.
지자체에 따라 처리 속도는 다를 수 있으니 참고하세요.

Q5. 다른 복지제도와 중복 수급이 가능한가요?
A5. 네,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나 긴급복지지원제도 등과 병행해서 받을 수 있습니다.
단, 일부 금액은 다른 지원금과 조정될 수 있어요.

혹시, 당신도 주거급여 대상자일지도 몰라요! 

복지 사각지대에 놓여 있던 누군가에겐 이 한 번의 정보 확인이 삶의 방향을 바꾸는 기회가 될 수 있어요.

혹시 주거비로 고민하고 계신가요? 댓글로 여러분의 상황이나 궁금증을 나눠주세요. 💬